1. STP의 역할, 필요성은 무엇입니까? STP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STP : L2 Topology를 유지 관리해 주는 Protocol
- 2중화 되어 있는 topology에서 loop를 감지하고, loop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 2중화 {(Active/Standby) (Primary, Scondary), (Redundancy) (HA)}
- 또한 topology 변화에 대해, 수렴하고 Port의 역활을 변경하는 역활을 수행 한다.
- 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 2sec을 통해 동작한다.
1.1 STP (802.1D)
1.2 PVST ---> VLAN별로 STP를 계산하는 STP
- 2중화 되어 있는 환경에서, VLAN 별로 Traffic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짐)
1.3 Rapid-PVST (RSTP 802.1W)
- L2 환경의 토폴로지 변화에 따른 컨버전스 속도를 계선 해주는 효과
1.4 MSTP (Multiple STP) 802.1S
- PVST가 가지는 리소스의 사용량을 줄이는 STP, 관리,설정이 용이
- VLAN별로 STP가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Group(Instance) 별로 STP를 동작시키는 방식
2. BPDU의 종류 2가지는 무엇이며 각각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SWITCH가 생성하여, Switch간에 주고받는 Frame
- Configuration BPDU
- Switch가 topology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Frame (STP를 계산하기 위해)
- 첫 BPDU의 경우, 모든 Switch가 송수신한다.
(Root Bridge를 생성하여 전파 2Sec 간격으로 전송, Topology를 유지 관리위해 사용)
- TCN (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 (Topology 변화를 감지한 SW생성하여 전파)
(Topology 변화 시, MAC Table의 Aging Time(300 > 20sec) 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3. STP관점에서 SW Port(L2)의 역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Access Port, Trunk Port
- DP(Designated Port) [Forwarding] BPDU 송신, Traffic 송수신
- RP(Root Port) [Forwarding] BPDU 수신, Traffic 송수신 "RP는 1개"
- Alternative Port [Blocking] BPDU 수신, Traffic 차단
4. STP에서 사용되는 Timer의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어떠한 용도로 사용됩니까?
- hello time : (default) 2sec마다 Configuration BPDU를 송신하는 주기
- forward delay : (default) 15sec (Listen, Learn하는 시간) >> 4sec
Listen (STP계산하고 모니터링하는 시간) > Loop 방지
Learn (MAC Table만드는 시간) > Flooding 방지
- max-age time : (default) 20sec (6sec)
> Blocking Port가 BPDU를 받지 않고 최대한 기다리는 시간
>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Link가 다운된 것을 인지하여 Topology 변화에 다시 STP를 계산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중급 (PVTP, RSTP, MSTP) (0) | 2024.08.26 |
---|---|
네트워크 중급 (STP의 Convergence를 빠르게 해주는 기능들.) (0) | 2024.08.26 |
네트워크 중급 (스위치_기본, VLAN, Trunk, VTP) (0) | 2024.08.22 |
네트워크 중급 (복습하기2) (0) | 2024.08.20 |
네트워크 중급 (복습하기) (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