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버의 구성요소는 무엇입니까? 각각의 구성요소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cpu : 중앙처리장치
- 메모리(ram) : 보조기억장치
- 스토리지 (hdd/ssd) : 데이터 저장소
- nic : 서버와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 파워 서플라이 유닛 : 전원 공급 장치
2. 운영체제란 무엇이며, 대표적인 운영체제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소프트웨어
- Windows, MAC, Linux. Unix, Android, IOS
3. DHCP란 무엇이며, DHCP Protocol이 사용하는 message(packet) 4가지는 무엇입니까?
- ip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 discover, offer, request, ack
4. DHCP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Helper Address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클라이언트가 브로드캐스트로 보내는 dhcp discover messege는 로컬 서브넷 내에서만 전파된다
이때, 다른 서브넷에 위치한 서버에 discover nessege를 전달해준다.
5.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시스템
5.1 DNS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며, Host파일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로컬 파일입니다
5.2 DNS의 계층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 루트레벨, 최상위 도메인, 2차 도메인, 하위 도메인, 호스트
- 쿼리시작, 루트 네임서버, tld네임서버, 권한 있는 네임 서버, 결과반환
5.3 DNS의 Packet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쿼리, 리스폰, update
5.4 DNS에서 역방향과 정방향은 각각 무엇입니까?
- 정방향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 역방향 : ip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6. NFS(Network File System)란 ?
-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고,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설계된 프로토콜
7. iSCSI란 무엇입니까? (SCSI)
- iSCSI는 SCSI 프로토콜을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원격 스토리지 시스템에 대해
블록 기반 접근을 가능하게 함.
8. SAMBA란 무엇입니까?
- 윈도우의 랜매니저 기능을 흉내내어 서로 다른 운영체제간의 파일공유,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9. 아래의 Command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01. $sudo su 관리자 모드
-> 루트 관리자로 전환
02. #apt -y install xinetd telnetd
-> 패키지 관리 + 모든 확인을 “예” = 설치 =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 + 텔넷 서버 데몬
03. #cd /etc/xinetd.d
-> 디렉토리 변경
04. #touch telnet
-> telnet 이름의 빈 파일을 생성
05. #ls –al
-> 디렉토리 파일 및 디렉토리 나열 모든 파일
06. #gedit telnet
-> GNOME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telnet 파일을 열어 편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07. #cat telnet
-> 파일의 내용을 표시합니다. telnet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합니다.
08. #cd
->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09. #adduser teluser
-> teluser라는 새로운 유저 생성
10. #systemctl restart xinetd
-> 서비스를 재시작
11. #systemctl enable xinetd
->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
12. #systemctl status xinetd
-> 현재 상태를 표시
13. #ufw allow 23/tcp
-> 간단한 방화벽 관리 도구입니다. allow 23/tcp는 TCP 포트 23을 방화벽에서 허용하여, Telnet 서비스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14. $head
-> 파일의 처음 몇 줄을 출력합니다
15. $tail
-> 파일의 마지막 몇 줄을 출력합니다
16. $less
->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는 텍스트 뷰어
17. $chmod
->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사용자, 그룹, 기타 사용자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 패키지란 무엇이며, Repository란 무엇입니까?
- 패키지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파일 집합.
- 리포지토리는 패키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나 저장소.
11. RAID란 무엇입니까?
-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결합하여 데이터 저장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기초 개념 (개념 정리3/ CDN) (0) | 2024.08.08 |
---|---|
서버 기초 개념 (개념정리2/ 복습하기) (0) | 2024.08.02 |
실전 연습) Windows Server에서 e-mail 서버만들기 (0) | 2024.08.02 |
서버 기초 개념 (개념정리1/ 복습하기) (0) | 2024.08.02 |
서버 기초 개념 (Storage Server) (0) | 2024.08.01 |